+82-42-869-1754 doi@kisti.re.kr

| READ


쉬리

신진섭(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Abstract

[과명]잉어 과 [종명]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 1935) [영명]Slender shinner [방언]살코기 [전장]10~13 ㎝ [특징]몸은 가늘고 길며 원통형이지만 미병부는 납작하다. 머리는 길고 주둥이 끝은 뾰족하다. 입은 작고 말굽 모양으로 주둥이 앞끝의 아랫면에 있다. 입가에는 수염이 없다. 측선은 완전하고 직선이다. 등지느러미 기점은 배지느러미 기점보다 약간 앞쪽에 있고, 꼬리지느러미의 후연 중앙은 안쪽으로 깊이 파였다. 산란기에 성숙한 수컷은 뒷지느러미 기조 위에 추성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의 외측 기조 아래쪽에도 추성이 약간 나타난다. 살아 있을 때, 머리의 등쪽은 녹갈색이고, 몸통의 등쪽은 흑남색이다. 측선이 있는 중앙에 폭이 넓은 황색 줄무늬가 있고, 그 등쪽에서 위쪽으로 주황색, 보라색 및 흑남색 줄로 이어지며, 옆줄의 아래쪽은 은백색이다. 머리의 옆면에는 주둥이 끝에서 눈을 통과하여 아가미 뚜껑에 이르는 흑색 띠가 있다. 모든 지느러미 기조에는 2 개 내외의 흑색 줄무늬가 있다. [생태]하천 중·상류의 맑은 물이 흐르는 곳의 여울부 자갈 바닥에서 살면서 수서곤충이나 작은 동물을 주로 섭식한다. 산란기는 4∼5월로 여울부의 자갈이나 큰 돌의 아래쪽에 산란하며 두꺼운 난막에 쌓인다. [분포]우리 나라 남부의 한강, 금강, 만경강, 동진강, 울진 왕피천, 삼척 오십천, 섬진강, 낙동강, 그리고 거제도와 여러 하천에서 서식하고 있는 우리 나라의 고유종이다. * 수 계 : 북한강,남한강,한강,안성천,삽교천,금강,만경강,동진강,탐진강,보성강,섬진강,남강,낙동강,밀양강,삼척오십천 * 지 역 : 청평,여주,양평,원주,온양,강경,금산,대천,완주,전주,순천,대구,김해,삼척,안동,회양,밀양,산청,무주,진안,임실,남원,보성,하동

Data Files

Related Link

dataset

 compiles

 this dataset.


Institutio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Category

  • 생명과학 > 분류/생태/환경생물학 > 생물자원/다양성

License

CC BY 4.0

Release Date

2017-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