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42-869-1754 doi@kisti.re.kr

| 열람

74


두만강자그사니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ZE 인용

[과명]잉어 과 [종명]Mesogobio tumensis (CHANG, 1979) [전장]3~17 ㎝ [특징]몸은 원통상으로 길고 뒤쪽은 가늘게 되었다. 머리는 비교적 작으며 원추형이고 끝은 뭉툭하다. 입은 주둥이 아래쪽에 있고 말굽형이다. 상하악의 입술에는 유두돌기가 있고 상악의 후단에 1 쌍의 수염이 있다. 눈은 작고 양안간격은 약간 오목하다. 비늘은 크고 가슴부에는 비늘이 없다. 측선은 완전하고 거의 직선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후연은 오목하다. 등쪽은 황갈색으로 등쪽 중앙에서 꼬리지느러미 기부까지 6∼7 개의 흑색반점이 있다. 체측에는 9∼10 개의 흑색반점이 있으며 복부는 회백색이다. 새개에는 2개의 흑색 반점이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4∼6 개의 검고 작은 점의 줄무늬가 있다. 뒷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밝은 홍색을 띠고 가슴지느러미는 진한 검은빛을 띤다. [생태]자갈이 많이 깔려있는 맑은 물에 살며 산란기는 5∼6 월이다. 겨울에는 깊은 곳에 모여서 월동을 하고 봄이 되면 얕은 곳으로 와서 조류와 수서곤충을 먹는다. [분포]우리 나라의 두만강에 분포한다. * 수 계 : 두만강 * 지 역 : 회령,무산


동버들개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LS 인용

[과명]잉어 과 [종명]Rhynchocypris percnurus (PALLAS, 1811) [방언]못버들치 [전장]6∼10 ㎝ [특징]몸은 약간 길고 옆으로 납작하다. 체고는 높고 머리는 납작하며 주둥이 끝은 둥글고 짧다. 큰 눈은 머리의 옆면에서 앞쪽에 치우쳐 있고, 양안간격은 넓다. 등지느러미는 짧고 약간 후방에 위치하며, 등지느러미 상후연은 둥글게 되어 있다. 꼬리지느러미 기부에 1개의 흑점이 있다. 꼬리지느러미 후연 중앙은 비교적 옅게 파였다. 황색바탕에 등쪽은 암갈색의 띠가 있고 배쪽은 밝은 색이다. 체측 중앙에는 윤곽이 불선명한 폭이 넓은 암갈색 종대가 있다. [생태]맑은 하천의 중·하류에 버들개와 혼서한다. 염분이 약간 혼합되어 있는 저수지에서도 서식하면서 작은 갑각류와 수서곤충류 등의 작은 동물을 섭식한다. 생활사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분포] 함경남북도의 하천에 서식하며 시베리아의 각 지방, 연해주 및 사할린에 분포한다. * 수 계 : 북대천, 성천강, 반포


돌상어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GG 인용

[과명]잉어 과 [종명]Gobiobotia brevibarba (MORI, 1935) [전장]10~15 ㎝ [특징]몸은 약간 길고, 배는 편평하며 등쪽은 둥글다. 머리는 위아래로 납작하고, 주둥이는 돌출되어 뾰족하다. 입은 주둥이의 밑에 있고 입수염은 4쌍이나 꾸구리에 비하여 모두 짧다. 눈은 머리 옆면 중앙보다 약간 위에 있다. 측선은 완전하며 후반부는 직선이다. 살아 있을 때의 몸은 옅은 황색으로 등쪽에 폭이 넓은 암색의 반점이 불분명하게 나타난다.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및 꼬리지느러미에는 꾸구리에서 볼 수 있는 반점은 없다. [생태]물이 깨끗하고 유속이 빠르며 수역의 바닥에 자갈이 깔린 곳에 서식하면서 주로 수서곤충을 먹고 산다. 자갈 바닥에 잘 숨고, 민첩해서 돌에서 돌로 자주 옮겨 간다. 산란기는 4∼5 월로 추정된다. [분포] 한강, 임진강, 금강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 수 계 : 한강,남한강,북한강,임진강,한탄강,금강 * 지 역 : 청평,가평,춘천,화천,양구,인제,양평,홍천,충주,영월,평창,회양,연천,철원,김화,대덕,신탄진,옥천,영동,금산,무주,진안


돌마자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65 인용

[과명]잉어 과 [종명]Microphysogobio yaluensis (MORI, 1928) [방언]압록돌붙이 [전장]5~10 ㎝ [특징]몸은 길고 위아래로 약간 납작하며 머리와 배는 편평한 편이다. 주둥이는 짧고, 입은 말굽 모양으로 주둥이 아래에 있으며, 윗입술에는 비교적 큰 피질돌기가 1 열로 되어 있다. 배의 복면에는 비늘이 없다 입 가장자리에는 안경보다 작은 1 쌍의 수염이 있다. 측선은 완전하고 그 전반부는 배쪽으로 약간 굽어 있으나 후반부는 거의 직선이다. 생식 시기에 성숙한 수컷은 주둥이 위쪽과 아래쪽 그리고 가슴지느러미 첫 번째 기조 주변에 추성이 밀집되어 나타난다. 머리와 몸의 등쪽은 옅은 청갈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체측 상단부는 약간 지저분한 검은색 반점이 널려 있으며, 중앙에는 윤곽이 뚜렷하지 않은 검은색 종대가 있고 그 위쪽에는 8 개 정도의 검은색 반점이 종렬된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작은 흑점들이 배열되어 3∼4 개의 줄무늬를 이룬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의 가슴지느러미와 몸 전체가 검은 색을 띤다. [생태]유속이 완만한 하천의 자갈이나 모랫바닥에 살며, 부착조류와 수서곤충을 주로 섭식한다. 산란기는 5∼7 월이다. [분포]한강, 금강, 만경강, 영산강, 탐진강, 섬진강, 낙동강, 압록강, 대동강에 분포한다. 한국 고유종이다. * 수 계 : 북한강,남한강,한강,안성천,삽교천,금강,만경강,동진강,탐진강,보성강,섬진강,남강,낙동강,밀양강,압록강,대동강,임진강,한탄강 * 지 역 : 청평,여주,양평,원주,온양,강경,금산,대천,완주,전주,순천,대구,김해,삼척,안동,회양,밀양,산청,무주,진안,임실,남원,보성,하동,벽동,평양


돌고기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YH 인용

[과명]잉어 과 [종명]Pungtungia herzi (HERZENSTEIN, 1892) [영명]striped shinner [방언]돌고기 [전장]10∼15 ㎝ [특징]몸은 길고 전반부는 약간 납작한 원통형이며, 미병부는 납작하다. 머리는 종편되고, 주둥이 말단은 더욱 납작하다. 입은 작으며, 윗입술은 두껍고 그 양측 끝부분은 두꺼워져서 부풀은 모습을 띤다. 입가에는 1쌍의 수염이 있다. 측선은 완전하며 체측 중앙에 직선으로 이어진다. 몸 등쪽은 진한 갈색이고 배쪽은 밝은 황색을 띤다. 체측 중앙에는 주둥이 앞 끝부터 눈을 지나서 미병부까지 폭이 넓은 갈색 줄무늬가 뚜렷하다. 전장 10cm가 넘으면 암갈색 줄무늬는 분명하지 않다. 각 지느러미는 갈색 반점이 없다. [생태]유속이 완만한 맑은 물의 바닥에 자갈이 있는 곳에서 주로 생활한다. 어린 새끼는 수면 가까이에서 떼지어 유영생활을 하나 성장하면서 저층으로 내려간다. 부착조류와 수서곤충의 유충을 주로 먹는다. 산란기는 5∼6월로 수심 50∼60cm되는 바닥에 있는 큰 돌이나 바위틈에 산란한다. [분포]우리 나라의 함경북도의 동해유입 하천을 제외한 전국 하천과 북한 지역에 서식한다. 국외로는 중국북부와 일본 남부에도 분포한다. * 수 계 : 만경강, 한강, 북한강, 남한강, 한탄강, 보성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형산강, 강릉남대천, 마읍천 * 지 역 : 청평, 가평, 춘천, 인제, 여주, 양평, 횡성, 원주, 정선, 평창, 승주, 순천, 구례, 진안 임실, 강진, 나주, 장성, 고창, 부안, 완주, 금산, 논산, 강경, 삼천, 영해, 영덕, 울산, 부산, 밀양, 부곡, 진주, 안동, 성천과 북한지역의 희양, 개천, 벽동, 강계, 후창, 평양, 신계


대황어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IN 인용

[과명]잉어 과 [종명]Tribolodon brandti (DYBOWSKI, 1872) [영명]far eastern rundace [방언]강황어 [전장]35∼55 ㎝ [특징]몸은 황어와 비슷하지만 주둥이 끝이 뾰족하고 윗입술은 아랫입술을 덮고 있다. 측선은 완전하며 두부측선감각계 가운데 새개 하악관(POM)과 안하관 후부(POC)가 접속된다. 등쪽은 암청색 또는 황갈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산란 시기에는 암수 모두 배쪽을 지나는 1열의 적황색 줄무늬가 있다. [생태]하천의 기수역과 연해의 비교적 얕은 곳에 살면서 물 속 중층이나 저층에 유영하면서 패류나 갯지렁이를 먹는다. 산란기는 4∼5월이다. [분포] 동해안의 축산천, 송천천, 추천천 및 광정천에 서식한다. 국외로는 일본, 오호츠크해의 서부, 사할린, 연해주 등지에도 분포한다. * 수 계 : 죽산천, 송천천, 추천천 과정천


대두어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44 인용

[과명]잉어 과 [종명]Aristichthys nobilis (RICHARDSON) [영명]bighead carp [전장]100 ㎝ [특징]체고는 높고 몸은 긴 난원형이고 측편되었다. 등지느러미 연조수 7, 뒷지느러미 연조수 12∼13, 측선 비늘수 96∼103개. 입수염은 없고, 배쪽 중앙 배지느러미 기부 앞쪽으로부터 항문까지 융기연이 있다. 비늘은 둥글고 측선은 완전하며 앞부분에서는 아래쪽으로 굽어져 내려오고 그 다음부터는 거의 직선으로 이어진다. 백연어 보다 채색이 더 검고 등쪽에는 암녹색의 구름모양 반점이 있다. [생태]용존 산소의 양이 적은 수중에서도 잘 견디어 낸다. 주로 식물성플랑크톤과 동물성플랑크톤을 섭식한다. 백연어보다 더 깊은 곳을 좋아한다. [분포]원산지는 중국대륙의 남부와 라오스, 베트남 등의 온대 및 열대지방의 호수이다. 세계적으로 중요한 양식 대상종으로 널리 이식되어 분포한다. * 수 계 : 한강


눈불개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O7 인용

[과명]잉어 과 [종명]Squaliobarbus curriculus (RICHARDSON, 1846) [방언]홍안자 [전장]20∼30 ㎝ [특징]몸은 길고 몸통은 원통형이지만 미병부는 납작하다. 머리는 작고 원추형으로 입가에 1쌍의 짧은 수염이 있다. 눈은 머리의 중앙보다 앞쪽에 있고 상악이 하악보다 약간 길다. 등지느러미 기점은 배지느러미 기점보다 약간 앞쪽에 있다. 체측 상반부는 옅은 갈색이고 하반부는 은백색이다. 측선 위쪽에 있는 대부분의 비늘 중앙에는 반달모양의 흑갈색 점이 있어서 7∼8개의 줄처럼 보인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짙은 회색이고 다른 지느러미는 회백색이다. [생태]유속이 완만한 큰 강의 하류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부착조류 및 수초와 수서곤충이나 물고기의 알을 섭식한다. 산란기는 6∼8월로 추정되지만 생활사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분포]우리 나라의 만경강 일부, 대동강, 한강, 금강(강경)에 서식하며 국외에서는 중국에 분포한다. * 수 계 : 대동강, 한강, 금강 * 지 역 : 강경


누치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OO 인용

[과명]잉어 과 [종명]Hemibarbus labeo (PALLAS, 1707) [영명]steed barbel [방언]눈치 [전장]15∼45 ㎝ [특징]몸은 측편되어 있고 길다. 주둥이는 길면서 끝이 돌출되었다. 주둥이 밑에 있는 입은 말굽모양이며 입술은 두껍다. 눈은 비교적 크고, 머리 옆면 중앙의 약간 위쪽에 있다. 하악은 상악보다 짧다. 측선은 완전하고 거의 직선이다. 미병부는 측편되어 있으며, 몸은 은색으로 등쪽은 어두운 색이지만 배쪽은 은백색이다. 어린 개체는 측선의 약간 위쪽에는 동공크기의 6개의 암색 반점이 몸 옆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성장하면 거의 없어진다. 꼬리지느러미의 가장자리는 암색이고 뚜렷하지 않은 점이 산재하지만 다른 지느러미는 담색이다. [생태]맑고 깊은 물이 흐르는 큰 강의 모래와 자갈이 깔려있는 바닥에서 서식한다. 수서곤충의 유충, 실지렁이 및 소형갑각류를 섭식하고 모래와 함께 부착조류도 먹는다. 산란기는 5월경이다. [분포]우리 나라에서는 서해안과 남해안으로 흐르는 하천에 서식하며 국외로는 베트남, 일본(북해도 제외) 및 중국 등에 분포한다. * 수 계 : 한강,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만경강, 금강 * 지 역 : 평양, 청평, 가평, 춘천, 여주, 양평, 원주, 횡성, 정선, 안동,대구, 진주, 밀양, 김해, 부산, 광양, 순천, 승주, 구례, 남원, 진안, 임실, 순창, 나주, 광주, 장성, 고창, 전주, 완주, 군산, 강경, 논산, 증평


납지리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ZC 인용

[과명]잉어 과 [종명]Acheilognathus rhombeus (TEMMINCK and SCHLEGEL, 1846) [영명]flat bitterling [방언]납저리아재비 [전장]6∼8 ㎝ [특징]몸은 납작하지만 체고는 비교적 높다. 등지느러미 기점의 아래보다 약간 앞부분의 체측 중앙으로부터 시작하여 미병부까지는 암갈색의 종대가 있다. 측선은 완전하며 가운데 부분은 약간 아래로 굽어진다. 아가미 뚜껑 바로 뒤에는 암청색의 작은 반점이 있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기조의 담갈색 바탕에 2줄의 담색 줄무늬가 있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은 등쪽이 청록색이 진하게 되어 있으며, 배쪽은 선홍색을 띠고 등지느러미, 배지느러미, 그리고 뒷지느러미의 가장자리는 선홍색으로 변한다. [생태]하천의 중·하류나 저수지에 서식하며 주로 수초의 잎을 먹고 산다. 산란기는 납자루속 어류로는 유일하게 9∼11월이지만 7월에 산란하는 개체도 있다. 산란은 역시 담수산 이매패의 새강내에서 이루어진다. [분포]우리 나라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을 제외한 전 하천에 서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 수 계 : 만경강, 한강, 북한강, 남한강, 한탄강, 보성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 지 역 : 가평, 여주, 양평, 강경, 완주, 장성, 임실, 구례, 진주, 밀양, 대구, 안동, 평양

그룹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4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2-42-869-1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