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CG
CITATION
[과명]잉어 과
[종명]Acheilognathus lanceolatus (TEMMINCK and SCHLEGEL, 1846)
[영명]slender bitterling
[방언]끌납저리
[전장]5∼9 ㎝
[특징]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체고는 비교적 낮다. 체측에 암점은 없고, 등지느러미 기점 아래의 후방에서 시작하는 가느다란 줄무늬가 있다. 입수염은 1쌍으로 눈의 직경보다 약간 길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가장자리는 거의 직선형에 가까우며, 측선은 거의 직선이다. 수컷의 주둥이 끝 양쪽에는 추성이 밀집된 추성반이 있으나 다른 종에 비하여 현저하지 않다. 몸은 금속성 광택을 띠며 은백색 바탕에 등쪽은 청갈색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가장자리는 선홍색을 보이며, 생식시기의 수컷은 몸 앞쪽의 체색이 약간 붉어지고 등쪽은 녹청색, 배쪽은 보라색을 띤다.
[생태]유속이 빠르고 수심이 얕으며 바닥에 자갈이 많이 깔린 곳에 주로 서식한다. 작은 수서곤충이나 부착조류를 먹고 산다. 산란기는 4∼6월로 암컷이 담수산 이매패의 새강속에 알을 낳으면 수컷이 바로 같은 조개에 방정 수정시켜 조개 몸 속에서 발생 부화한다.
[분포]우리 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으로 유입하는 전 하천에 서식하며 국외에서는 일본에도 분포한다.
* 수 계 : 만경강, 한강, 북한강, 남한강, 한탄강, 보성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 지 역 : 가평, 여주, 원주, 삽교, 강경, 논산, 증평, 완주, 고창, 장성, 진안, 임실, 순천, 승주, 구례, 밀양, 진주, 대구, 안동, 성천, 벽동, 청진, 평양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BB
CITATION
[과명]잉어 과
[종명]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BERG, 1940)
[영명]Korean piscivorous chub
[방언]어헤
[전장]20∼40 ㎝
[특징]몸은 길고 납작하며 후두부는 아주 높다. 입은 매우 커서 문단은 위쪽으로 향해있다. 상악 후단은 눈의 앞쪽 가장자리 밑에 달하고 하악은 상악과 맞도록 볼록하게 굽어 V자 모양이다. 입수염은 없다. 측선은 완전하며 배지느러미 기점 위에서 아래로 심하게 굽었으며, 미병부에서는 다시 위로 향하고 있다. 등지느러미 기점은 배지느러미 기점과 거의 수직선상에 있다. 몸의 등쪽은 진한 갈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지느러미는 어두운 색 또는 진한 갈색이다. 생식시기가 되면 수컷은 머리 밑에서 배까지 주황색을 띠며,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 그리고 뒷지느러미의 일부도 주황색을 보이고 등쪽은 청자색이다. 또한 성숙한 수컷은 추성을 갖는다
[생태]큰 강의 하류와 저수지에 서식하면서 부착조류, 수초와 수서곤충, 어류, 작은 동물 등을 먹고 산다.
[분포]우리 나라 동해로 흐르는 하천을 제외한 전 하천에 서식하며 중국, 일본 및 시베리아 유역에도 분포한다.
* 수 계 : 한강, 금강, 만경강, 영산강, 섬진강
* 지 역 : 청평, 정선, 여주, 양평, 원주, 횡성, 공주, 강경, 무주, 완주, 장성, 순창, 순천, 삽교, 예산, 평양, 후창, 개천, 삭주, 벽동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FD
CITATION
[과명]잉어 과
[종명]Gobiobotia macrocephala (MORI, 1935)
[방언]돌메자
[전장]10~13 ㎝
[특징]몸은 약간 길고 전반부는 굵으며 후반부는 가늘다. 머리는 약간 뾰족하고 납작하며 머리 아래쪽은 편평하다. 입은 주둥이 밑에 있으며, 아래에서 보면 반원형이다. 입수염은 4 쌍으로 그 가운데 1 쌍은 입 가장자리에 있으며, 3쌍은 아래턱 밑에 있는데 그 중 맨 뒤에 있는 수염은 가장 길어서 그 길이가 눈의 직경보다 길다. 눈은 머리 옆면 중앙에 있으며 피막이 있어서 여닫이가 가능하다. 측선은 완전하고 거의 직선이나 전반부에서는 배쪽으로 약간 굽어져 있다. 몸은 다갈색 바탕이며, 체측에는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사이에 짙은 갈색의 3 개의 횡대반문이 뚜렷하지만, 이보다 앞쪽에도 유사한 무늬가 있으나 불분명하다.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및 꼬리지느러미에 매우 작은 흑점이 줄처럼 이어진다. 산란기에 암컷은 몸에 황색을 띠지만 수컷은 진한 밤색을 띤다.
[생태]물살이 빠르고, 자갈이 많이 깔린 하천 상류지역에 서식하며, 수서곤충을 먹고 산다. 산란기는 4∼6 월로 자갈 사이에 산란한다.
[분포]한강, 임진강, 금강에 제한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 수 계 : 한강,남한강,북한강,임진강,한탄강,금강
* 지 역 : 가평,춘천,횡성,충주,영월,평창,정선,고랑포,공주,조치원,신탄진,영동,진안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FB
CITATION
[과명]잉어 과
[종명]Squalidus gracilis majimae (JORDAN and HUBBS, 1925)
[영명]Korean slender gudgeon
[전장]7~10 ㎝
[특징]소형으로 몸은 길고 옆으로 약간 납작하다. 주둥이는 뾰족하고 그 밑에 입이 있다. 하악은 상악보다 약간 짧고 상악 후단은 후비공 아래에 달한다. 입 가장자리에는 가느다란 수염이 1 쌍 있는데 수염 길이는 대체로 눈의 직경과 같다. 측선은 거의 일직선을 이루고 전반부는 아래쪽으로 약간 굽어 있다. 등지느러미 위쪽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약간 파였고 꼬리지느러미의 뒤가장자리 중앙은 안쪽으로 깊이 파였다. 가슴지느러미는 작아서 그 끝부분이 배지느러미에 미치지 않는다. 살아 있을 때의 몸은 은백색으로 등쪽은 약간 어둡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측선 비늘 부분은 갈색의 줄로 이어지고 후반부는 더욱 진하게 보인다. 머리와 몸통의 등쪽에는 불규칙한 작은 흑점이 산재하여 나타난다. 각 지느러미는 담황색으로 흑색 반점이 없다.
[생태]유속이 완만한 하천이나 저수지에 살고 수초가 우거진 곳에 더 많이 모여든다. 작은 갑각류나 수서곤충의 유충을 먹고 산다. 산란기는 5∼6 월이고 얕은 물 속의 수초에 알을 붙인다.
[분포]우리 나라 서해안과 남해안으로 유입된 하천에 분포하는 고유아종이다.
* 수 계 : 북한강,남한강,한강,안성천,삽교천,금강,만경강,동진강,탐진강,보성강,섬진강,남강,낙동강,밀양강,영산강,대동강,압록강,청천강
* 지 역 : 청평,여주,양평,원주,온양,강경,금산,대천,완주,전주,순천,대구,김해,회양,안동,밀양,산청,무주,진안,임실,남원,보성,하동,성천,평양,벽동
https://doi.org/10.8888/EPOPS201712031X9
CITATION
[과명]잉어 과
[종명]Rhynchocypris kumgangensis (KIM, 1980)
[영명]Kumkang fatminnow
[전장]7~8 ㎝
[특징]몸은 길고 납작하며 주둥이는 뾰족하고 눈은 비교적 크다. 체측에는 작은 비늘이 덮여 있고 측선은 완전하며 거의 직선이다. 배지느러미의 기점은 등지느러미의 기점보다 훨씬 앞쪽에 있고 등지느러미 정상부는 뾰족하며 뒤쪽 가장자리는 직선이다. 미병부는 길며, 꼬리지느러미 뒤쪽 가장자리의 중앙은 비교적 깊이 파였다. 몸의 등쪽은 황갈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생식 시기의 수컷은 체측 중앙에 2 줄의 주황색 띠가 머리 뒤에서 미병부까지 이른다. 가슴지느러미 기부에도 주황색을 띤다. 등지느러미 기부 위에는 뚜렷한 흑색 반점이 있어 버들치나 버들개와 잘 구별된다.
[생태]본 종은 심산 유곡의 물이 맑고 찬 계류에 서식하면서 주로 수서곤충이나 작은 갑각류를 먹고 산다. 산란기는 4∼5 월이다.
[분포]한강의 최상류와 금강의 무주구천동 계곡에서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대동강과 압록강에서도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 수 계 : 압록강,남한강,북한강,금강,양양 남대천
* 지 역 : 금강산,갑산,회양,단양,정선,진부,양양,무주
https://doi.org/10.8888/EPOPS201711301YK
CITATION
본 자료는 APEC기후센터에서 주관한 국내 유관기관 관계자 대상 2017년도 APCC 제2차 교육 프로그램 (관련기사: http://www.safetoday.kr/news/articleView.html?idxno=31334)을 통해 생산된 기후변화 시나리오 상세화 자료이다. 교육 참가자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 본 상세화 자료를 적용한 후 분석 결과를 모아 기후변화학회지 특별호 ( 9권 1호) 발간을 목적으로 자료를 공유하였다. 하지만 본 자료에 대한 출처 (DOI) 및 관련 논문 정보를 명시한 후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미래 전망 자료는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CMIP5)를 통해 생산된 자료로부터 3개 주요변수 (강수량, 최고기온, 최저기온)에 대해서는 29개 Global Climate Model (GCM)으로부터, 3개 추가변수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에 대해서는 29개 GCM중 10개 GCM으로부터 생산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자료는 과거기간에 대한 Historical 자료와 미래기간에 대해 온실가스의 농도에 대한 대표 경로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인 RCP4.5 및 RCP8.5 시나리오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기상청의 60개 기상관측소에 대하여 Simple Quantile Mapping (SQM: https://cran.r-project.org/web/packages/rSQM/index.html) 및 Spatial Disaggregation-Quantile Delta Mapping (SDQDM)의 두 가지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상세화 자료가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활용 목적에 맞게 상세화 방법 및 GCM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지수 (Climate Change Indices)를 포함한 과거재현성, 미래 전망의 왜곡도, 불확실성 평가 등의 추가적인 분석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https://doi.org/10.8888/EPOPS201711301FM
CITATION
[과명]잉어 과
[종명]Erythroculter erythropterus (BASILEWSKY, 1855)
[영명]skygager
[전장]20∼30 ㎝
[특징]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길며 등쪽의 외곽선은 거의 직선에 가깝다. 머리는 작은 편이고 그 등쪽은 약간 안으로 굽었다. 하악이 발달하여 전상방으로 돌출되어 구각이 거의 수직이다. 비늘은 둥글고 얇으며 측선은 완전하며 그 앞부분은 배쪽에서 활처럼 아래쪽으로 굽어있으나, 후반부는 거의 직선이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기부 사이에는 날카로운 비늘이 있으나 용골상의 융기연이 없다. 몸은 은백색으로 등쪽은 청갈색이다. 포르말린에 고정된 표본은 옆면에 검은 색의 줄무늬가 보인다. 모든 지느러미는 반문이 없고 무색이다.
[생태]유속이 완만하고 수량이 풍부한 큰 강 하류에 서식하며, 갑각류, 수서곤충 및 치어를 잡아먹고 산다. 산란기는 5∼7월로 알은 수초에 붙인다.
[분포]우리 나라의 임진강, 한강, 금강, 압록강과 대동강 등에 분포한다. 국외에서는 중국의 화북지방, 흑룡강 수계 및 대만에도 서식한다.
* 수 계 : 임진강, 한강, 금강, 북한지역의 압록강, 대동강
* 지 역 : 파주, 양평, 여주, 강경
https://doi.org/10.8888/EPOPS201711301Y0
CITATION
[과명]잉어 과
[종명]Coreius heterodon (BLEEKER, 1864)
[전장]25 ㎝
[특징]
몸은 길지만 앞쪽은 비교적 퉁퉁하고 뒤쪽은 납작하다. 머리는 아주 작고 납작하다. 작은 눈은 머리 위쪽 앞부분에 있고, 비공은 커서 문단과 눈의 뒤쪽 가장자리의 중간에 있다. 수염은 아주 길어서 전새개골에 도달하거나 그보다 더 지나간다. 양안간격의 중앙부는 볼록하다. 배지느러미의 기점은 등지느러미 기점의 바로 아래에 있다. 머리는 두꺼운 피부로 덮여있고, 복부와 가슴부에는 비늘로 덮여있다. 측선은 직선으로 이어지고 완전하다. 고정된 표본의 경우, 등쪽은 회색이고 배쪽은 담황색에 은빛을 띤다. 뚜렷한 반점이나 반문은 없다.
[생태]비교적 큰 강에 서식한다. 생태나 생활사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분포]우리 나라에서는 인천부근에서 1905년 Jordan and Starks에 의하여 2마리가 채집된 이후에는 출현보고가 아직까지 없다. 국외에서는 중국의 북부 황하나 양자강 수계에 분포한다.
* 지 역 : 한국의 인천 부근
https://doi.org/10.8888/EPOPS201711301JR
CITATION
[과명]잉어 과
[종명]Zacco temmincki (TEMMINCK and SCHLEGEL, 1846)
[영명]dark chub
[방언]불지네
[전장]10∼20 ㎝
[특징]머리는 비교적 큰 편이고 눈도 크다. 주둥이는 짧고 끝은 다소 뭉툭하다. 상악의 후단에 있는 구각부는 안와 전연의 아래에 이른다. 입수염은 없다. 뒷지느러미는 가운데 기조가 다른 기조보다 길다. 등쪽의 체색은 녹갈색이며, 배쪽은 은백색, 체측 하단부는 황색이다. 체측 상단부는 연한 녹갈색이다. 등지느러미 기점 아래의 체측 중앙에서부터 미병부까지에는 청색이나 담흑색의 폭이 넓은 띠가 있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은 온몸에 황색을 띠며, , 복면의 중앙과 뒷지느러미 기부의 체측 그리고 등지느러미 아래의 옆면은 보라색이나 홍적색을 띤다. "피라미"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나, 갈겨니는 눈이 크고 체측에 세로로 뻗는 줄무늬가 있지만 피라미는 눈이 작고 가로로 뻗은 여러 개의 띠가 있어 쉽게 구분된다.
[생태]하천 중·상류의 물 흐름이 비교적 완만한 곳에 서식하며 상류 계곡까지도 올라가면서 주로 수서곤충을 먹고 산다. 산란기는 5∼8월이다.
[분포]우리 나라에서는 영동지역 북부를 제외한 전 하천에 분포하며, 도서지역의 담수역에도 출현한다. 국외에서는 중국과 일본에 분포한다.
* 수 계 : 한강, 금강,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만경강, 탐진강
* 지 역 : 여주, 인제, 정선, 평창, 양평, 강경, 공주, 진안, 밀양, 영주, 진주, 산청, 봉화, 울산, 순천, 남원 승주, 장성, 완주, 강진, 벽동, 개천, 자성, 회양, 원통, 영덕, 울진, 경주
https://doi.org/10.8888/EPOPS2017113013/
CITATION
[과명]잉어 과
[종명]Rhodeus uyekii (MORI, 1935)
[영명]Korean rose bitterling
[방언]남방돌납지리
[전장]4∼5 ㎝
[특징]몸은 옆으로 납작하나 체고가 그다지 높지 않아서 체형은 긴 난원형이다. 입은 주둥이 앞쪽 아래에 있고 하악은 상악보다 약간 짧다. 수염은 없다. 눈은 비교적 크고 머리의 옆면 중앙보다 약간 위쪽에 있다. 측선은 불완전해서 3∼4 번째 비늘까지 개공되었고 종렬비늘수는 32∼34 개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가장자리의 뒤쪽은 약간 둥글게 되었고, 꼬리지느러미의 후연 중앙은 안쪽으로 깊이 파여 있다. 성숙한 수컷의 주둥이 앞 양쪽에 추성이 밀집된 추성반이 발달한다. 산란기가 되면 암컷은 항문의 뒤쪽에 회갈색의 긴 산란관이 나온다. 살아 있을 때, 몸의 등쪽은 청갈색을 띠고, 복부는 담황색 혹은 회색을 띤다. 아가미 구멍 뒤의 위쪽에는 동공크기의 암청색 점이 있고, 등지느러미 기점의 바로 아래 중앙에서 꼬리지느러미 기부까지 암청색의 줄이 뚜렷하게 이어진다. 산란기의 수컷은 주둥이 아랫부분과 뒷지느러미, 배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위와 아래쪽에 황색이 더욱 진해지고, 등지느러미 가장자리와 꼬리지느러미의 중앙부, 그리고 뒷지느러미의 가장자리에는 선홍색의 띠가 선명해진다.
[생태]유속이 완만하며 수초가 비교적 많이 있는 얕은 하천이나 저수지에 산다. 산란기는 5∼6 월로 서식처의 바닥에 사는 조개의 새강에 산란한다.
[분포]리 나라 서해안과 남해안으로 흐르는 각 하천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 수 계 : 북한강,남한강,한강,안성천,삽교천,금강,만경강,돈진강,백천,영산강,탐진강,보성강,섬진강,남강,낙동강,밀양강
* 지 역 : 밀양,김해,진주,순천,승주,구례,하동,진안,임실,장성,광주,고창,전주,강경,대천,삽교,온양,원주